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목돈을 마련하도록 추진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청년이 5년간 일정금액을 매달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에 지급하는 것으로 23년 6월에 출시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금융지원을 하는 정책형 상품으로 매달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한다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보조금과 은행의 이자를 더하여 최대 5,000만 원이라는 목돈을 만기에 수령하도록 지원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정부의 지원금 적립과 비과세 혜택까지 있다고 하니 청년들의 자산 형성과 경제 활동 지원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은 만 19세에서 만 34세 이하 청년입니다. 군 복무기간은 나이 계산에서 제외된다고 하니 가입대상의 연령을 계산하여 보세요.
가입자의 개인소득 기준은 년 6,000만원 이하이며, 가구소득은 중위 180% 이하여야 합니다. 개인소득이 6,000만원에서 7,500만 원이면 정부의 지원금은 없으나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은 있다고 하니 조건을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이 불가하고 연계되지 않으니 확인이 필요하고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가입신청, 소득심사, 유지심사 등을 거쳐 올해(2023년) 6월 중 접수 예정이고, 아직 가입 금융기관 등의 자세한 내용은 공지되지 않았습니다. 추후 청년도약계좌 금융상품이 출시되면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의 큰 해택은 만기 시에 정부의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지급받으며 비과세라는 점입니다. 매월 70만 원을 5년 동안 납입하고 금리 5%(단리)와 비과세가 적용되다고 가정하면 약 4천7백만 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원금은 4천2백만 원, 70만 원*12개월*5년). 추후 발표되는 혜택을 확인하고 가입하시어 목돈마련 등 자산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의 경우 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이고, 그후 만기까지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3년을 초과하여도 고정금리 지급에 대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니 추후 관련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매월 70만원씩 납입하나 총급여가 2,400만 원 이하이면 매칭비율 6%로 월 최대 정부 지급 지원금은 2.4만 원, 총급여가 4,800만 원 이하 이면 매칭비율 3,7%로 월 2.2만 원의 지원금이 지급되고, 6,000만 원 이하이면 3.0%로 월 2.1만 원이 지원되도록 계획하고 있습니다. 가입자의 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지원금 매칭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만 19세~ 만 34세이하의 청년들에게 유익한 금융상품이니 출시되면 많은 관심을 가시면 자산마련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린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기 박멸 모기 퇴치 기술 (0) | 2023.04.23 |
---|---|
거지방 절약 생활 (1) | 2023.04.16 |
디지털 새싹 캠프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4.10 |
분양권 전매제한 오늘부터 풀린다 (0) | 2023.04.10 |
직장인 휴가와 노동 생산성 이해하기 (0) | 2023.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