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연차 휴가 발생기준과 사용촉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장인의 연차 사용은 직장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연차에 대해 자세히 알고 올바른 연차 사용을 통해 활기찬 직장생활을 꿈꾸어 보자. 연차 휴가는 근로자인 직장인의 정당한 법적인 권리인 만큼 연차 휴가에 대해 숙지하고 사내의 휴가 규정 등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직장인 연차 발생기준
연차란 근로기준법 상에 연차 유급휴가의 줄임말로 흔히 '연차'라고 부릅니다. 연차는 회사에서 그냥 주거나 휴가를 보내주는 것이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이 보장하는 노동자가 월급을 받으면 쉴 수 있는 법적으로 보장된 휴가이며 권리입니다.
연차 발생기준은 1년에 80% 이상 근무한 모든 직장 근로자가 15일의 유급 휴가를 받게 됩니다. 직장에서 연속하여 근무한 근속 기간이 3년 차 이상인 경우 1년을 가산하여 유급휴가가 주어집니다. 3년 이상 근무한 후부터는 2년마다 1일씩 유급휴가가 가산되어 유급휴가가 주어지면 최대 유급휴가 일수는 25일이 한도입니다. 따라서 근속한 연수가 증가할수록 연차는 가산되어 발생되나 최대 25일을 넘지 못하는 것입니다.
직장인 근무기간이 1~2년차는 1년 연차 일수가 15일이 되며, 3~4년 차에는 16일이 됩니다. 근무기간 2년이 증가할 때마다 1일의 연차 휴가가 추가되어 11~12년 차가 되면 20일의 연차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21년 차의 직장인은 25일의 연차 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후 근속연수가 증가하여도 연차는 증가하지 않게 됩니다.
신입 직장인 연차 휴가는 몇일
1년 미만의 신입사원 직장인의 경우 1개월 개근을 하면 1일씩의 근로기준법 상의 연차 휴가가 발생합니다. 연차 휴가는 개근한 달의 다음날 발생하며 유효기간은 1년으로 합니다. 별도의 근로계약서 및 사내 휴가 규정이 있다면 유효기간은 다를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5인 이상의 사업자에서 근무할 때 적용되니 4인 이하 사업장에서는 고용주와 협의하여 유급 휴가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사항입니다.
연차 휴가 사용촉진
회사에서는 휴가 사용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에 근로자에게 사용하지 않는 연차 휴가를 사용할 것을 요청해야 한다고 합니다. 회사가 연차 사용을 요청하고 사용계획서를 통해 사용일을 지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연차 사용 촉진 조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인 직장인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남은 연차에 대해서는 회사가 금전적인 보상의 의무가 없다고 합니다. 회사의 귀책사유로 연차를 미처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회사가 근로자에게 연차 수당 등 금전적 보상을 해야 합니다. 이것이 연차 사용 촉진제도입니다.
직장인의 연차는 어떻게 쌓이는 것이며 연차 휴가 사용촉진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린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0) | 2023.04.16 |
---|---|
디지털 새싹 캠프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4.10 |
분양권 전매제한 오늘부터 풀린다 (0) | 2023.04.10 |
직장인 휴가와 노동 생산성 이해하기 (0) | 2023.04.09 |
난방요금 절약 팁 (0) | 2023.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