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그린 빌딩42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위한 건물 단열 기후위기, 고유가 시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용은 미래에 대한 대비이며, 현재의 사회에서 꼭 해결해야 하는 이슈입니다. 에너지 공급과 사용은 한 나라의 안정과 번영, 발전에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건물에서의 에너지 사용은 각 나라마다 차이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전체 에너지의 약 18%의 비중을 건물 에너지가 차지합니다. 국가가 선지화 될수록 그 비중은 40% 수준으로 높아진다고 합니다. 건물에서 에너지를 사용함에 있어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용 방안을 위한 건물 단열의 내용과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물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용의 의미 건물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오늘날의 숙제 건물이 사용자나 소유자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한 후 폐기될 때 까지 전체 수명기간 동안에 "에너지.. 2023. 5. 11.
지속가능한 친환경 건축물 요건 지속가능하며 친환경적인 건축물은 건물자체로부터 자연 및 주변 환경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입니다. 최근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탄소중립, 웰빙, 삶의 질과 관련하여 친환경 건축물, 그린빌딩, 지속가능한 건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친환경 건축물, Sustainable building의 요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속가능한 친환경 건축물 요건 건물의 위치 지속가능한 친환경 건축물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이며 기초적인 요소 중의 하나가 건물을 어디에 지을 것이며, 건물의 방향, 높이, 위치는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입니다. 몇몇 건축물 소유자는 자신의 건물이 고즈넉하고 외진 곳에 홀로 위치하여야 이상적인 공간 또는 프라이버시가 강조된 환경으로 여깁니다. 그러나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바람직하.. 2023. 5. 9.
제로에너지 건축물 (ZEB) 정의와 인증 제도, 지원사업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ZEB라고 축약하여 부르며 풀 네임은 Zero Energy Building이다. 세계 선진국들은 미래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방안으로 건축물의 제로에너지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정의도 각국의 기술 및 경제적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제도에 대해 알아보자. 제로에너지 건축물 정의 및 기술구성 제로에너지 건축물 정의 우리나라의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정의는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2조 제4호에 따라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로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란 냉방, 난방, 급탕, 조명, 환기.. 2023. 5. 7.
건축물 에너지평가사 필기시험 합격 후기 건축물 에너지평가사 필기시험의 합격 후기를 기록하고자 합니다. 필자는 직장을 다니면서 에평사 준비를 하였습니다. 22년 제8회 필기시험에 합격하였고 같은 해에 제2차 시험인 실기 시험에도 합격하여 현재 에평사 자격을 획득한 상태입니다. 이 블로그의 합격 후기가 에평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수험생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건축물 에너지평가사 직무 내용 건축물 에너지평가사는 일명 에평사라 부르며 건물의 에너지 부문과 관계한 설계, 시공, 에너지절약 컨설팅, 에너지 효율 인증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자격입니다. 건축, 기계, 설비, 전기, 신재생, 관련 법규에 대한 전문적이고 복합된 지식을 가지며 현재는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인증평가 업무를 고유 직무로 법제화되어 있습니다. 향후, 제로.. 2023. 5. 6.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내용과 추진방법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는 서울시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으로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다.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2050 온실가스 감축 추진 계획과 서울비전 2030의 일환으로 준비하고 있는 정책이다.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개요 건물의 온실가스 적정 배출량을 정하여 그 이상으로 배출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을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라 한다. 적정 배출량인 표준배출량 또는 기준배출량을 어떻게 정하느냐가 중요한 문제이다. 서울시는 서울에 위치한 약 59만 동의 건물을 용도에 따라 12개로 분류하고 17년부터 19년까지 에너지 소비에 따라 배출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고 건물 용도별 배출 특성을 고려하여 표준배출량을 설정하고 관리한다고 한다. 즉 건물 유형.. 2023. 4. 29.
학교 건물의 녹색건축물 의무 우리 아이들이 하루의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가 녹색건축물로 바뀐다고 합니다. 앞으로는 학교를 지을 때 녹색건축물로 지어야 한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친환경적이고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수업받고 자랄 수 있어서 좋으며 온실가스 배출 저감으로 일석이조일 것 같습니다.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녹색건축물 의무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녹색건축물 의무화 현재는 신축, 재축, 별동으로 증축하는 공공건축물로 연면적 3천 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와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해당 건물은 에너지 절약적이며 자연친화적인 건축물로 설계 및 시공하여 녹색건축인증을 의무적으로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공공 업무시설의 건축물은 녹색건축인증의 우수등급(그린 2등급) 이상을 받도록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합니다. 녹색건축물로 인증을.. 2023.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