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린 라이프

자동차 검사 예약 방법과 준비물

by 그린리부 2023. 7. 23.
반응형

자동차를 소유하고 계시는 분은 2년마다 한 번씩 의무적으로 자동차 검사를 받으라는 안내를 받고 계실 겁니다. 자동차 검사는 자동차가 운행 중 내뿜는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막고 자동차 운행의 안전성을 검사를 하여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아래 자동차 검사 시에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였으니 꼭 확인하고 자동차 검사를 놓치지 마세요.

 

썸네일 자동차 검사 예약방법 준비물

 

자동차 검사 손쉬운 예약 방법

자동차 검사는 종합검사와 정기검사가 있습니다. 자동차가 소유 및 등록된 지역에 따라 자동으로 검사 대상이 지정됩니다.

일반 자가용 승용차의 경우 새차로 출고된 후 4년에 1회, 그 후에는 2년마다 한 번씩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영업용 차량은 출고 후 2년부터 매년 검사를 받게 됩니다.

주변에 자동차 수리 및 점검을 겸하는 민간 자동차검사소가 있으나 비용이 큰 단점이 있습니다. 비용이 다소 비싼 만큼 빠른 검사와 거주지 주변에 위치하여 시간이 약간 절약되는 장점도 있습니다. 검사 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수리비를 내고 바로 수리할 수 있다는 점도 장/단점이 되겠습니다.

자동차 검사 손쉬운 예약 방법으로 TS교통안전공단 사이버 검사소에서 온라인으로 쉽게 예약이 된다고 하니 아래 링크에 접속하셔서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사이버검사소 | 한국교통안전공단

VEHICLE TUNING SUPPORT PORTAL TS튜닝알리고 바로가기 --> 중소튜닝업체들의 판로지원과 홍보지원을 통해 국민들이 튜닝업체를 신뢰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적 환경 마련과 튜닝 산업 활성화를 위해

www.cyberts.kr

TS교통안전공단 사이버 검사소에 접속하고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 자동차검사예약 메뉴에서 검사차량을 조회하고 예약하시면 됩니다. 절차는 안내에 따르면 간단하고 편리합니다. 마지막으로 검사 예약일자와 원하는 검사소를 선택하면 됩니다.

 

자동차 검사 미 검사 시의 과태료

자동차 검사를 놓쳐서 검사 가능한 기간이 지나게 되면 30일 이내 경과되었을 때는 4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31일 이후의 경과일이 지나면 매 3일마다 2만 원씩의 과태료가 추가로 부과된다고 하니 자동차 검사를 놓치지 마세요.

과태료는 최대 60만 원까지 부과될 수 있으며 장시간 자동차 검사를 받지 않으면 '자동차 관리법'에 의해 자동차 운행정지 명령과 차 번호판 영치 등의 처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자동차 검사 시기는 안내되는 검사기간의 전후 한 달 이내로 받으면 됩니다.

 

종합검사와 정기검사의 선택

자동차 검사는 종합검사와 정기검사가 있으나 선택하여 받는 것이 아닌 지역 및 연식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되어 필요한 검사가 지정됩니다. 교통안전공단의 안내에 따라 해당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 검사 시 준비물

자동차 검사를 받기 위해 검사소에 가져가야 할 준비물은 "해당 자동차(차량)"와 "검사비"만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자동차 등록증과 자동차보험가입증명서가 필요하나 등록증 지참 의무는 없어졌고(전산으로 조회), 보험가입증명서도 검사소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역별 자동차 검사소 찾기

자동차 검사소를 찾는 간단한 방법으로 아래의 자동차검사소 찾기 사이트를 방문하셔서 지역별로 가장 가까운 검사소를 찾아보세요.

 

 

간단한검사예약

자동차검사예약

xn--c79ao69ahta.com

 

안전한 차량 관리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차량 대시보드에 알람이 뜨거나 갑자기 차량이 정지한다던지, 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이 되지 않는 등의 차량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지오일 교환을 한다던지 가까운 정비소에 들러 차량 점검을 요청하거나 서비스 받게 됩니다. 하지만 바쁜 생활 속에서 쉬운 일은 아니죠.  차량의 안전한 운행과 차량 관리를 위해 국가에서 정기적으로 해당 차량의 출고 이후 지역과 차량 종류에 따라 종합검사와 정기검사를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차량의 안전한 관리와 차량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종합검사는 정기검사보다 배기가스에 대한 오염물질 검사가 많은 경우이며, 통상적으로 브레이크 작동 문제, 지시등 작동 문제, 차량 속도 제어 등을 검사하게 됩니다. 의무적인 검사이므로 때로는 번거롭기는 하나 차량의 안전 관리 차원에서 검사를 받고 운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위한 자동차 검사는 예약하시고 해당 기간 내에 꼭 받으셔서 차량관리와 안전운전에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