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안하고 큰 집에서 사는 것은 누구나 꿈꾸는 것입니다. 하지만 작은 집에서도 각 공간을 최적화하면서 창의적인 접근을 하면 작은 집이지만 아늑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 작은 집을 아늑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비법을 소개합니다. 물론 공간을 기능적이면서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시간의 투자와 작지만 비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다용도 가구 활용
작은 집이거나 협소한 공간일수록 가구의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효율적인 가구의 선택은 공간을 기능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소파형 침대, 접이식 테이블, 확장이 가능한 카운터나 선반이 대표적입니다. 하나의 가구이지만 침대이면서 소파가 되는 용도가 결합된 가구가 있습니다. 2인용 테이블이지만 확장이 가능하여 4인에서 최대 6인까지도 사용할 수 있는 확장 테이블도 있습니다. 하부에는 접시나 용품을 수납할 수 있으면서 상부 테이블은 주방의 요리대이면서 식탁이 될 수 있는 아일랜드형 수납장도 있습니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용도 가구를 선택해 보세요.
2. 효율적인 배치
가구와 공간을 효율적으로 나누거나 배치하는 것은 작은 집에서 동선을 효율적으로 만들거나 집의 질서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책장, 책상 뿐만 아니라 소파로 공간을 나누어 배치할 수 있습니다. 상자, 수납장, 바구니 등을 활용하여 공간을 분류하고 접근을 용이하도록 전략을 짜보세요. 본인만의 동선을 만들고 작은 집에서 쉽고 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배치를 생각해 보고 실천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수직 수납 이용
벽에 고정된 책장, 선반 등의 수직 수납을 이용하여 수납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수납은 작은 집을 효율적이고 아늑하게 하는 최선의 방법이 됩니다. 작은 집에서 바닥보다는 벽을 이용하여 높은 공간에 물건을 보관하면 답답함을 피하면서 수납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습니다. 벽에 못을 사용하지 않고 선반을 붙일 수 있는 많은 솔루션이 나와 있습니다.
지금 인터넷을 켜고 우리 집, 내 공간에 어울릴 만한 수직 수납용 선반이나 책장을 검색해 보세요.
4. 조명의 활용
적절한 조명은 작은 집의 공간을 아늑하고 편안하게 변화시켜 줍니다. 내장형 조명, 벽부형 조명, 벽등, 펜던트 조명을 선택하고 활용하고자 하는 공간의 용도에 따라 조명을 변화시켜 보세요. 작은 집이 넓은 공간으로 인식되는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전체가 밝은 것 보다는 간접 조명과 집중 조명을 활용하여 공간을 다양하게 연출하고 중립적인 색상은 우아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더 넓은 공간으로 만듭니다.
5. 외부공간 적극 활용
작은 집이지만 발코니가 있거나 집으로 들어오는 작은 통로 공간 등이 있다면 적극 활용해 보세요. 발코니나 통로 공간에 적합한 수납장, 선반, 바구니 등을 활용하여 집의 거주 가능한 공간 확장을 시도해 보세요. 자신만의 독특한 공간으로 꾸밀수도 있습니다. 물론 작은 비용 투자는 감내해야겠죠. 적합한 가구나 장식품을 사기 위한 발품팔이도 필요하고요.
6. 미니멀리스트적 사고와 생활 습관
작은 집이나 공간을 넓게 쓰고자 한다면 비우는 미니멀리스트적인 사고와 실천이 가장 큰 솔루션이 됩니다. 3년 동안 한 번도 사용하지 않는 가전이니 소형기기, 옷, 신발 등을 과감하게 처분하세요. 그리고 공간을 비우세요.
사용하지 않는 오래된 물건은 사진으로 찍고 추억만 남기세요. 미니멀리스트적 사고와 생활 습관을 실천해보세요. 작은 집이 한결 아늑해지고 넓어질 것입니다.
작은 집에 사신다면 자신의 공간을 보다 기능적이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으로 만들어 보세요. 효율적인 배치와 비워 내는 습관을 통해 전략적인 방법을 찾는데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세요. 집의 크기가 자기의 삶의 질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세요.
작은 집도 각 공간을 최적화하고 창의적인 접근을 통해 아늑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린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없이 집을 시원하게 하는 팁 (0) | 2024.08.24 |
---|---|
시스템 에어컨 난방 시 점검사항 (8) | 2024.01.20 |
자동차 저공해조치 단속 제외를 위해 지원사업 참여하기 (0) | 2024.01.19 |
집을 청소하는 순서와 청소 비법 (3) | 2024.01.14 |
청소년 진로 직업 광고기획자 (3) | 2024.01.07 |
댓글